공지사항
이맹교 원장님의 136회 예상문제 토목시공기술사
[136회 대비 토목시공기술사 용어형 예상문제 및 답안 ]
1. 굴착사면 붕괴 방지 대책 (Excavation Slope Stability Measures)
모범답안:
굴착사면은 비탈면 붕괴 위험이 크므로 사면안정 해석을 통한 적정 경사 확보, 배수계획, 흙막이 구조물 설치, 숏크리트 및 띠장보강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.
특히 우기 전 굴착공사 시 배수불량으로 인한 사면활동성 증가에 주의해야 하며, 계측관리와 위험도 평가를 병행하여 안정성을 확보한다.
---
2. 흙막이 가시설(Earth Retaining Temporary Structure)
모범답안:
흙막이 가시설은 지하굴착 시 토사의 붕괴 및 지반침하 방지를 위해 설치하는 임시 구조물이다.
대표적으로 강재흙막이, 토류판+버팀보, 앵커식 흙막이 등이 있으며,
굴착 깊이, 주변 지반 조건, 인접 구조물 유무에 따라 적절한 공법을 선택한다.
계측에 의한 변위 및 지중응력 관리가 시공 중 필수이다.
---
3. 우수저류시설(Rainwater Detention System)
모범답안:
우수저류시설은 집중호우 시 일시적 홍수량을 저장하여 배수계통 부담을 완화하고 도시 침수 예방을 위한 구조물이다.
대표적으로 저류조, 지하 BOX, 터널형 저류시설이 있으며,
저류용량 산정 시에는 우수유출 해석, 최대강우량, 유역면적, 배제시간을 고려해야 한다.
---
4. 지하구조물 누수 방지 시공(Waterproofing of Underground Structure)
모범답안:
지하구조물은 외부지하수로부터의 수압·누수 문제가 빈번하며,
방수 시공은 **외방수(시트방수, 도막방수)와 내방수(몰탈 방수, 그라우팅)**로 구분된다.
콘크리트 조인트부, 관통부, 콘크리트 타설 이음부 등 취약부위 집중 시공 및 품질확보가 중요하다.
최근 지하역사, 물류센터 등 대형 지하공사 현장에서 핵심 품질관리 항목이다.
---
5. 연약지반 개량공법(Soft Ground Improvement Method)
모범답안:
연약지반 개량공법은 지지력 확보와 침하 방지를 위해 적용되며,
주요 공법으로는 프리로딩, 샌드드레인, 페이퍼드레인, 진공압밀, 심층혼합처리 등이 있다.
공법 선정 시 지층조건, 공사기간, 주변영향(건물, 하천) 등을 고려해야 하며,
시공 후에는 침하량 계측과 강도확인 시험을 통해 효과를 검증한다.
---
6. 콘크리트 수축균열 대책(Concrete Shrinkage Crack Control)
모범답안:
수축균열은 건조수축, 온도수축, 초기 침하 등에 의해 발생하며,
균열 제어를 위해서는 적절한 배합설계, 조기 양생, 수분 손실 방지,
그리고 온도철근 배근 및 수축줄눈 설치가 필요하다.
특히 장대형 슬래브, 교량 바닥판 등에서 수축균열은 내구성 저하로 직결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.
---
7. 차수벽(Impermeable Cut-off Wall)
모범답안:
차수벽은 지하수 유입 또는 외부 수압으로 인한 붕괴 방지를 위해 시공되는 구조물로,
흙막이 공법 보조, 댐 기초 차수, 매립지 차수 등에 사용된다.
공법에는 벤토나이트 슬러리 월, CSM 공법, 지하연속벽(SCW) 등이 있으며,
차수성능 확보를 위해 이음부 시공 품질과 연속성 확보가 중요하다.
---
8. 구조물 기초 침하(Substructure Settlement)
모범답안:
기초 침하는 구조물 하중에 의해 지반이 압축·변형되는 현상으로,
전반침하, 차등침하로 구분된다.
부등침하는 구조물 손상, 균열, 기능 저하를 유발하며,
침하 방지를 위해 **지반조사 철저, 적절한 기초 형식 선택(말뚝기초, 개량기초 등)**이 필요하다.
시공 후 침하계, 경사계 계측관리로 유지보수한다.
---
9. 터널 터파기 공법(NATM, TBM, Shield 등)
모범답안:
터널 굴착 공법은 지반조건, 단면 형상, 시공성과 안전성에 따라 NATM, TBM, 실드공법 등으로 구분된다.
NATM은 자연지반 자립력 활용, TBM은 기계굴착 방식으로 단면 정밀성 우수,
실드는 지하철·하수터널 등 연약지반에서 유리하다.
공법 선정 시 지반조건, 지하수, 인접구조물, 공기 등을 종합 검토해야 한다.
---
10. 스마트 건설기술(Smart Construction Technology)
모범답안:
스마트 건설기술은 ICT, BIM, 드론, 로봇, 자동화기기 등을 활용한 디지털 기반의 건설 생산성 향상 기술이다.
예: 드론 측량, 무인굴삭기, AR 시공검토, 디지털트윈 기반 시공관리 등이 있다.
정부는 국토부 스마트 건설기술 로드맵을 통해 보급을 확대 중이며,
안전성, 품질,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.
[136회 대비 토목시공기술사 서술형 예상문제 및 답안]
1. 연약지반 위 시공 시 품질확보 방안
요약답안:
연약지반은 침하 및 지지력 부족이 문제되므로, 공사 전 정밀조사 → 적합한 개량공법(프리로딩, 심층혼합처리 등) 적용 → 시공관리(압밀계측, 침하관측 등) → 사후 유지관리로 품질을 확보한다.
---
2. 흙막이 가시설의 설계 및 시공 시 유의사항
요약답안:
흙막이 구조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토질조건, 지하수위, 인접 구조물 등을 반영한 설계가 필요하며, 시공 시에는 버팀보·앵커 정착력 확보, 굴착 깊이 관리, 계측 및 변위 모니터링이 중요하다.
---
3. 도심지 굴착공사 시 안전사고 예방대책
요약답안:
주변 도로·건물 영향 검토, 사전 계측망 설치, 순차 굴착 계획, 작업자 안전교육, 위험요소별 점검표 운영 등을 통한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다. 시민 안전을 고려한 방음벽, 분진 방지 대책도 병행한다.
---
4. 콘크리트 균열 발생 원인 및 보수방안
요약답안:
균열은 수축, 온도, 하중, 시공불량 등으로 발생하며, 원인별로 보수공법을 달리 적용한다. 예: 구조적 균열 → 에폭시 주입, 비구조적 균열 → 표면 코팅. 예방을 위한 배합설계와 양생관리도 병행한다.
---
5. 공사 중 민원 발생 시 대응 방안
요약답안:
사전 주민설명회, 소음·진동 측정기 설치, 민원접수 체계화, 대응 매뉴얼 운영 등으로 신뢰를 확보하고, 민원 발생 시에는 신속한 현장 확인 및 원인 분석 후 기술적·행정적 조치를 병행해야 한다.
---
6. 흙의 동결·융해에 따른 구조물 피해와 대책
요약답안:
동결융해는 지반의 체적 변화와 배수불량으로 구조물 침하나 들뜸을 유발한다. 대책으로는 단열재 설치, 배수계획 수립, 동결심도 아래 기초 배치, 모래·자갈 등 비결빙성 재료 사용이 있다.
---
7. 교량 시공 시 품질관리 방안
요약답안:
파일 기초 시 정착길이 확보, 거더 제작 시 공장 품질관리, 현장 PSC 거더는 긴장력 관리 및 그라우팅 품질 확보가 핵심이다. 슬래브 타설 시 균열관리 및 양생 철저, 교좌장치·신축이음 설치 점검도 포함된다.
---
8. 사면 붕괴 사례분석 및 안전대책
요약답안:
우기 전 비탈면 붕괴 사고 분석 시, 사면경사 과다, 배수 불량, 지반 약화가 주요 원인이다. 대책으로는 배수로·차단벽 설치, 식생공법, 띠장 보강 등이며, 수시 점검 및 드론·센서 계측 활용도 중요하다.
---
9. 하천정비사업 시 고려사항
요약답안:
홍수위 산정, 제방 안정성, 저수지 기능, 보·수문 통합운영, 하상안정화 등 다양한 요소를 통합 설계해야 한다. 생태복원 및 주민 접근성도 고려하며, 준설계획 및 홍수 시 대응계획이 병행되어야 한다.
---
10. 도로포장 균열 발생원인과 보수대책
요약답안:
균열은 재료불량, 기온 변화, 교통하중, 기층 침하로 발생하며, 원인별로 절삭·보수, 시멘트 슬러리 시공, 단면 재시공 등 보수공법을 적용한다. 예방 위해서도 배수성 포장, 신축줄눈 정비가 필요하다.
---
11. 시공 BIM(Building Information Modeling) 활용방안
요약답안:
시공 BIM은 3D 설계를 통해 간섭 검토, 물량 산정, 시공 시뮬레이션, 공정관리 등에 활용된다. 특히 도로·철도·터널 등 선형구조물에서 간섭 최소화, 공정 최적화에 효과적이며, 디지털트윈 기반 운영도 가능하다.
---
12. 옹벽 전도·활동 파괴 사례와 대책
요약답안:
전도는 배면 토압 과다, 활동은 마찰저항 부족이 주 원인이다. 대책으로는 배면 배수공 확보, 기초 저면 확대, 앵커 보강 등이 있다. 설계 시 허용 안정계수 확보와 구조검토 병행이 필수다.
---
13. 장대터널 시공 시 안전관리 방안
요약답안:
장대터널은 화재, 붕괴, 환기 등 위험이 크므로 가스측정기 설치, 피난로 확보, 방재설비 점검, 공기질 관리, TBM·NATM 특성별 안전대책 마련이 중요하다. 터널 내 통신·피난 유도도 병행된다.
---
14. 교량 내진설계 및 보강기술
요약답안:
내진설계는 지진하중을 고려한 지진구역분류, 고정/가동받침 설계, 교좌장치 변위 제어, 내진댐퍼 설치 등을 포함한다. 보강기술로는 탄소섬유 보강, 면진장치 설치, 내진앵커 등이 있다.
---
15. 지반침하에 따른 도로파손 사례와 보수계획
요약답안:
도심지 노후하수관, 지하공사 등으로 침하 발생 → 도로 균열, 단차 발생. 보수는 원인 확인 후 지반보강(압입, 그라우팅), 도로 단면 복구가 필요하며, 사전 계측관리와 구조물 영향 검토도 병행해야 한다.
---
16. 토공량 산정 방법과 시공관리
요약답안:
토공량 산정은 단면법, 블록법, 좌표법 등을 활용하며, 절취·성토·이동거리 등을 정밀 산출해야 한다. 시공 중에는 토량차계, GPS 건설기계 등을 통한 정량·정위치 시공관리로 정밀화가 가능하다.
---
17. 말뚝기초 시공 시 품질확보 방안
요약답안:
재하시험(정재하·동재하)으로 지지력 확인, 두부정리 철저, 선단 지반 정밀조사, 콘크리트 타설 시 Tremie관리, 장비수직도 확인 등이 필수. 시공 중 건전성 확인 위한 소낙기법(SIT, CSL 등)도 활용한다.
---
18. 민자사업(PPP)의 추진절차와 리스크 관리
요약답안:
BTO, BOT 등 민자사업은 수요예측, 민간사업자 선정, 실시협약 체결, 설계·시공·운영 등 단계로 구성된다. 주요 리스크는 수요부족, 건설지연, 민원 등이며, 손익공유제도·보증제·철저한 타당성 조사로 대응한다.
비밀번호 인증
글 작성시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.
확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