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벤트 배너 배너_큐넷

전체 카테고리

추천 메뉴

공지사항


공지사항

이맹교 원장님의 136회 예상문제 건설안전기술사

윤실장   2025.05.15 08:40:23
조회수 334

[ 136회대비 건설안전기술사 예상문제 및 답안 ]


1. 근원적 안전 (Inherent Safety)


답안 요약:

사고 예방을 위해 설계 초기 단계부터 위험요소를 제거하거나 최소화하는 접근. 예: 독성물질 대체, 구조 단순화. 사고 원인을 사전에 차단하는 "예방 중심 안전관리" 핵심 개념.


---


2. 전도재해 (Toppling Hazard)


답안 요약:

중심이동, 받침면 부족 등으로 인해 자재·장비가 쓰러지며 발생하는 사고. 특히 고소작업대, 적재 자재, 비탈면 작업 시 주의 필요. 대책: 적재 높이 제한, 고정 장치 사용, 작업계획서 수립.


---


3. Lock-out / Tag-out (LOTO)


답안 요약:

설비 수리 시 에너지원을 차단(Lock-out)하고, 차단 상태임을 알리는 표지(Tag-out)를 부착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는 절차. 전기·기계 설비 점검 시 필수 안전조치.


---


4. 다중재해 (Multiple Hazard / 복합재해)


답안 요약:

2개 이상 위험요소가 동시 작용하여 발생하는 복합적 사고. 예: 가스누출 + 폭발, 고소작업 + 감전. 복합위험 평가와 통합대응체계 필요.


---


5. 근골격계 질환 유해요인조사 (WMSDs Risk Assessment)


답안 요약:

반복동작, 무리한 자세, 과도한 힘 등이 작업자 근골격계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평가하고 예방 대책 수립. 최근 작업환경개선의 핵심 과제 중 하나.


---


6. 밀폐공간 질식사고 예방대책


답안 요약:

산소결핍, 유독가스 등으로 인한 사고. 작업 전 가스농도 측정, 환기, 감시인 배치, 공기호흡기 착용, 작업허가제 운영이 중요하다.


---


7. 중대재해처벌법 주요내용


답안 요약:

사망·중상해 발생 시 경영책임자에게 형사책임 부여.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, 위험요인 제거, 종사자 교육 등 의무 강화. 사전 예방중심 법령이다.


---


8. Hazard Identification (위험요인 식별)


답안 요약:

현장의 잠재적 위험요소를 시스템적으로 발굴하는 과정. 예: HAZOP, What-if, FMEA 기법 활용. 안전계획 수립의 출발점.


---


9. 근로자 참여형 안전활동


답안 요약:

작업자들이 위험성평가, 순찰, 제안제도 등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자발적 안전문화를 조성하는 활동. 예: TBM, 5분 안전미팅, 위험성알리기 캠페인 등.


---


10. 낙하·비래 사고 예방대책


답안 요약:

고소 작업 시 공구, 자재 등이 떨어져 발생. 대책: 개구부 덮개, 낙하방지망 설치, 공구결속, 접근통제, 하부 감시인 배치 등.


---


11. 위험성 평가 3단계 절차


답안 요약:

①위험요인 파악 → ②위험도 산정(빈도×강도) → ③대책 수립 및 실행. 평가결과 기록·재평가가 중요하며, 법적 의무로 정착됨.


---


12. Construction Safety Culture (건설안전문화)


답안 요약:

모든 구성원이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인식하고 행동하는 조직문화. 리더십, 소통, 교육, 공정한 보상체계가 핵심 요소.


---


13. 크레인 전복사고 예방대책


답안 요약:

지반침하, 과부하, 강풍 등에 의해 발생. 대책: 지반 안정성 확보, 풍속 감시, 하중계 관리, 작업반경 이탈 금지, 작업계획서 승인 등.






[136회대비 건설안전기술사 서술형 예상문제 및 답안]


1.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른 건설현장 안전관리 변화와 대응방안


답안 요약:


법의 주요 내용(경영책임자 의무, 형사책임) 설명


안전보건관리체


---


2. 타워크레인 설치·해체 작업 중 재해사례와 안전관리대책


답안 요약:


주요 사고원인: 지반부실, 작업순서 오류, 작업계획서 미비


작업계획서 승인, 지정감리, 근로자 교육 필수


해체 시 구조해석, 하중분산 고려


기상조건·통제계획 포함한 전 과정 관리


---


3. 밀폐공간 작업 중 질식사고 예방대책


답안 요약:


위험요인: 산소결핍, 유독가스


안전조치: 가스측정기, 환기설비, 작업허가제


산소농도 기준 제시, 감시인 배치


산소공급 장치 및 비상계획 포함



---


4. 건설현장 협력업체 안전관리 실태와 개선방안


답안 요약:


원·하청 간 안전불균형 실태


원청의 책임 강화(교육, 점검, 평가 연계)


협력사 안전역량 평가체계 구축


공정안전관리 수준까지 확대 필요



---


5. 이동식 비계(시스템비계) 사용 시 안전관리 방안


답안 요약:


기존 강관비계와의 비교


설치·해체 시 사고사례


구조검토, 조립도면, 지지기준, 작업자 교육


바닥 고정 및 낙하방지 등 세부 대책


---


6. 공정관리와 안전관리의 통합 운영 방안


답안 요약:


빠른 공정이 재해 유발


CPM, TACT 공정 속에 안전활동 내재화


공정별 위험성평가, 공정연동형 안전계획 수립


협업 기반 통합 관리체계 제시


---


7. 위험성평가제도의 효과적인 정착 방안


답안 요약:


평가 형식화 문제


참여형 평가, 결과 공유, 후속조치 중심 개편


실시간 위험성평가 플랫폼 제안


재평가 체계, 교육 연계 방안


---


8. 대형 건축물 해체작업 시 발생 가능한 재해와 대책


답안 요약:


최근 광주 해체사고 사례


구조안정성 확보, 작업계획서 승인


감리자의 역할, 낙하·비래물 통제


지하층·필로티 구조 시 해체순서 중요


---


9. 근로자 참여 기반의 자율안전관리 정착방안


답안 요약:


하향식 안전관리 한계


TBM, 제안제도, 근로자 안전지킴이 제도 도입


참여율 평가 및 인센티브 제공


자율적 안전문화로 전환


---


10. 스마트 안전관리 기술의 활용과 문제점


답안 요약:


IoT, AI, CCTV, 웨어러블 센서 등 소개


장점: 실시간 모니터링, 이상징후 조기감지


문제점: 데이터 신뢰도, 현장적용 한계


해결방안: 기술교육, 시스템 표준화


---


11. 건설기계와 인력의 충돌사고 예방대책


답안 요약:


주요 사고: 후진 차량, 회전장비


대책: 작업구역 분리, 유도원 배치, 시인성 PPE


사각지대 센서·CCTV 적용


장비별 표준작업절차(SOP) 작성



---


12. 고소작업 안전관리 방안 (이동식 발판, 작업대 등)


답안 요약:


주요 위험요인: 낙하, 전도, 감전


안전조치: 추락방지망, 안전대, 결속


장비 점검, 바퀴 고정, 작업계획 수립


고소장비 교육, 자격관리


---


13. 건설현장 사고조사 및 재발방지 체계 개선방안


답안 요약:


사고조사 형식화 문제


원인분석기법(Fishbone, 5Why 등) 활용


제도화된 분석보고서 + 교육 연계


재발방지대책 이행확인 시스템 도입


---


14. 공공건설공사의 안전관리비 제도 개선방향


답안 요약:


실사용률 저조, 실적 반영 부족


안전관리비 계상기준 합리화 필요


사용내역 공개, 안전성과 연계 배분


지급 방식 개선(직접 지급, 실비 정산 등)


---


15. 폭염 및 혹한기 건설현장 안전대책


답안 요약:


온열질환·동상, 장비결빙 등 발생 위험


작업시간 조정, 음수 제공, 그늘막 설치


PPE 적정화, 예보 기반 작업조정체계


법적 의무사항과 자율관리 조화


---


16. 건설재해 통계분석을 통한 재해예방 전략 수립


답안 요약:


사고발생 시간대, 작업유형, 원인별 분석


고빈도 사고에 자원 집중


통계기반 위험관리 시스템 구축


재해 데이터 개방·활용 방안 제시



---


17. 감전사고 예방대책 및 실무 적용방안


답안 요약:


주요 사고사례: 이동형 전선, 누전


대책: 정격차단기, 접지확보, 누전차단기 의무화


전기 작업자 자격관리


감전사고 시 응급조치 포함


---


18. 건설업 안전관리자의 역할과 역량강화 방안


답안 요약:


역할: 교육, 점검, 조정, 보고


역량요소: 전문지식 + 소통능력 + 리더십


교육제도 강화, 정기평가 도입 필요


직무 명확화 및 권한 강화



목록!--
 

비밀번호 인증

글 작성시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.

확인
광고 좌측 배너 건축사 인강

동백전 바로가기